리액트는 수정시에 웹소켓으로 React Hot Reload로 웹페이지를 새로 리로드 시켜준다.
그러나 proxy 설정으로 해당 에러 발생시 React 설정
React webSocket connection to 'wss://주소:3000/ws' failed
#에러
React webSocket connection to 'wss://주소:3000/ws' failed
#구성
[사용자 브라우저]
⇅ HTTPS (443)
[Caddy 서버]
⇅ (localhost:3000 으로 프록시)
[SSH 터널링으로 연결된 3000포트]
⇅
[docker-compose codeserver에 React 3000]
#caddy 설정
URL주소 {
reverse_proxy localhost:3000
tls mail@mail.com
log {
output discard
}
}
#docker-compose 설정
services:
code-server:
image: lscr.io/linuxserver/code-server:latest
container_name: code-server
restart: always
environment:
- PUID=1000
- PGID=1000
- TZ=Asia/Seoul
- PASSWORD=
- SUDO_PASSWORD=
- PROXY_DOMAIN= URL 주소
- DEFAULT_WORKSPACE=/config/workspace
volumes:
- D:\codeserver/config:/config
ports:
- 8085:8443
- 3000:3000
#해결 .env 설정
React root에 .env 파일 생성
#WebSocket 설정
WDS_SOCKET_PORT=0 <-------------해당 설정만 넣으면 해결가능
#WDS_SOCKET_HOST=url 주소
#WDS_SOCKET_PORT=443
#WDS_SOCKET_PATH=/ws
#HTTPS=true
# 폴링 설정
CHOKIDAR_USEPOLLING=true
WATCHPACK_POLLING=true
나는 라즈베리파이로 낮은 성능이라 caddy로 proxy설정하였는데
proxynginx proxy manager로 proxy 설정시에도 동일할로 예상합니다.
'Programming > Rea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eact & Spring Boot (0) | 2024.02.17 |
---|---|
slack clon coding (0) | 2023.03.29 |